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74690942-2');
올 어바웃 퀀트

파이어족을 준비하는 30대를 위한 투자 가이드

Editor`s Note
30대 직장인이 파이어족이 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체계적인 투자 전략이 필요해요. 퀀트 투자는 감정을 배제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어 파이어족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죠.

핵심만 콕콕

✔︎ 파이어족이 되려면 연 지출의 25배 자산이 필요해요

✔︎ 목표 수익률은 연 7-10%가 현실적이에요

✔︎ 레버리지보다 꾸준한 복리 효과가 더 중요해요

✔︎ 퀀트 투자는 감정 배제와 리스크 관리에 탁월해요

✔︎ 로보어드바이저나 알고리즘 구독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어요

현실적인 파이어족 가이드

"나도 50살 전에 은퇴하고 싶어!" 하는 마음, 누구나 한 번쯤 가슴에 품어봤을 거에요.

하지만 막연한 공상말고 파이어족이 되려면 얼마나 모아야 하는지 알고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파이어족의 기준은 연간 생활비의 25배~30배에 해당하는 자산을 모으는 거라고 합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가계동향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구당 월 평균 소비지출액은 약 290만원입니다. 이 경우 연간 지출액은 3,480만원이 되는데요. 이를 기준으로 목표 금액을 계산하면

25배 기준: 3,480만 원 × 25 = 8억 7천만원

30배 기준: 3,480만 원 × 30 = 10억 4천 4백만 원

즉, 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최소 준비금은 8억 7천만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1인가구이거나 자녀의 유무, 기타 재산 상황에 따라 필요 자금은 바뀔 수 있겠지만, 편의상 가구당 기준으로 계획을 세워보겠습니다.

허리띠를 졸라매보자!

파이어족이 되기로 마음을 먹었으니 이제 열심히 절약을 해야겠죠?

202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1만원입니다.

여기서 월평균 지출인 290만원을 빼면 231만원이 남습니다.  231만원씩 차곡차곡 모아 8억 7천만원을 만들려면… 약 377개월, 연으로 따지면 31년 5개월이 걸리는군요!

파이어족이 되려면 아무리 아낀다 하더라도 저축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역시 투자를 해서 자산을 불려야겠군요! 그렇다면 연 몇 %의 투자 수익률을 기록해야 할까요?

목표 연 투자 수익률

많은 분들이 최근 불장인 주식 시장을 보면서 연 20%, 30% 수익률!을 꿈꾸는데요. 그전에 현실을 직시해야 해요.

워런 버핏의 회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평균 연간 수익률이 약 20%라고 합니다. 1965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2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는건 정말이지 전설적인 일이죠.

투자를 이제 시작하려는 평범한 투자자라면, 현실적으로 연 7-10%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걸 추천 드립니다. 이 경우 연 평균 3%의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실질수익률은 4~6%가 될 텐데요.

그거밖에 안돼? 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복리의 마법을 무시하면 안 돼요.

매월 월 200만 원씩 적립하면서 연 평균 8% 수익을 기록한다면, 20년 후엔 약 11억 7,800만원, 30년 후엔 약 29억 8300만원이 모여요.

인플레이션을 감안한다 해도, 20년만 복리로 모아도 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최소 자금은 충분히 모을 수 있게 되는 거죠!

여기서 중요한건 수익률의 대부분의 후반 10년 동안 발생했다는 점이에요. 복리의 마법은 시간이 지날수록 강력해지기에, 초반엔 ‘이게 되는건가?’ 싶더라도 꾸준하게 밀고 나가는 결단이 필요해요.

그래도 파이어족 하려면 레버러지로 한 방에 벌어야 하지 않을까?

복리의 위력을 이해했지만, 그럼에도 젊을 때 레버리지로 한 방에 크게 벌어서 파이어족이 되려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충분히 이해해요. 저도 그런 생각 해봤으니까요. 하지만 레버리지는 양날의 검이에요.

Financial Metrics
총투자금액 10,000,000
최종평가액 197,517,045
누적수익률 1875.17%
연평균수익률 31.82%
샤프비율 0.27
표준편차 95.34%
MDD 90.46%

레버리지는 수익률을 2,3배 추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손실 역시 2,3배로 겪게 되는 구조에요.

위 그래프를 보면서 ‘그래도 결국 천만원에서 2억으로 올랐으면 좋은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신다면, 10년의 세월 동안 최대 90%까지 기록했던 MDD(고점대비 최대손실폭)에서 얼마나 멘탈이 무너지는 경험을 했을지 잠시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결국 일반 투자자의 금융 계획과 멘탈을 지킬 수 있는 건 꾸준하고 점진적인 수익이 진짜 답이에요.

적립식으로 투자해서 연 8%씩 30년이면 총 수익률은 300%가 넘게됩니다.레버리지 없이도 충분히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뜻이죠.

무엇보다 잠을 편히 잘 수 있어요. 이게 얼마나 큰 장점인지는 투자해보신 분들은 다 아실 거예요.

파이어족이 주목해야 하는 퀀트 투자의 장점

자, 그럼 어떻게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을까요? 여기서 퀀트 투자가 등장해요.

퀀트 투자Quantitative Investment(계량적 투자)의 줄임말로, 수학적·통계적 모델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방식입니다.

퀀트 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감정을 배제한다는 거예요. "아, 삼성전자가 또 떨어졌네. 이제 반등할 것 같은데..." 이런 감정적 판단 없이, 오직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따라 움직이죠.

인간의 심리는 투자의 최대 적이에요. 공포에 팔고 탐욕에 사는 게 인간의 본성이거든요. 하지만 퀀트는 다르죠.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매매해요. RSI가 30 이하면 매수, 70 이상이면 매도. 이런 식으로요.

또 다른 장점은 리스크 관리예요. 퀀트 전략은 보통 여러 자산에 분산투자하고, 손절 규칙도 명확해요. "이 종목은 내가 잘 아니까 몰빵!" 이런 위험한 선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죠.

그리고 백테스트가 가능하다는 것도 큰 장점이에요. 과거 10년, 20년 데이터로 전략을 검증할 수 있죠. "이 전략이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어떻게 버텼을까?" 이런 걸 미리 확인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래서 퀀트 투자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

퀀트 투자의 장점은 알겠는데, 어떻게 시작하면 되는지 막막하신가요? 이제부터 퀀트 투자를 시작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로보어드바이저 활용하기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robot)과 투자 전문가(Advisor)의 합성어로, 알고리즘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구축해주는 서비스를 뜻해요.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알고리즘 기반이라는 점에서 퀀트투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종목선정이나 리밸런싱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큰 자금 규모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점점 더 주목받고 있는 투자 분야입니다.

두 번째, 다이렉트 인덱싱 투자하기

다이렉트 인덱싱은 ETF와 비슷하지만, 지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개별 종목을 투자자가 직접 구성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어요.

‘직접 투자하는거랑 같은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수 도 있지만, 투자자가 직접 선정한 포트폴리오 종목을 퀀트 알고리즘으로 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요. 직접 투자와 퀀트 투자의 장점을 합친 하이브리드 투자라고 할 수 있는데요.

ETF에 제공되는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있고, 최소 투자금액도 예전보다 많이 낮아져서 1,000만 원 정도면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투자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퀀트 전략 직접 구현하기퀀트 투자에 본격적으로 도전하고 싶다면, 직접 퀀트 알고리즘을 작성해 볼 수도 있아요.

퀀트 알고리즘 작성을 위해선 증권사 API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환경과 알고리즘 작성을 위한 프로그래밍 실력이 준비되어야 하는데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가 아니라면 개인이 이런 작업을 혼자 진행한다는 건 사실상 너무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시중에 나와 있는 퀀트 플랫폼의 서비스들을 이용하면 코딩을 몰라도 퀀트 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퀀트 플랫폼 인텔리퀀트의 iQ마켓 서비스를 이용하면, 전문가가 작성한 퀀트 알고리즘을 구독하는 형태로 손쉽게 퀀트 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는 파이어족 퀀트 투자 체크리스트

파이어족이 되기 위해선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 과도한 레버리지를 추구하기 보다는 복리효과를 극대화하는 적립식 투자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퀀트 투자를 통해 시간과 멘탈을 아끼면서도 내 성향에 맞는 투자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도 배웠죠!

이제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확인하면서, 파이어족이 되기 위해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한번 더 점검해 보겠습니다.

1단계: 현실적인 목표 설정하기

□ 현재 연간 생활비 계산하기

□ 목표 은퇴 연령 정하기

□ 필요한 은퇴 자금 계산하기 (연 생활비 × 25~30)

□ 매월 투자 가능한 금액 정하기

2단계: 투자 방법 선택하기

□ 장기 투자 원칙 설립하기

□ 리스크 성향 파악하기 (보수적/중립/공격적)

□ 로보어드바이저, 다이렉트 인덱싱, 직접 퀀트 투자 중 선택

□ 투자할 플랫폼 선택하기 (퀀트 서비스, 증권사 앱 등)

3단계: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 주식:채권:현금:기타자산 비율 정하기

□ 국내:해외 비율 정하기

□ 리밸런싱 주기 정하기 (분기 또는 반기)

4단계: 꾸준히 실행하고 기록하기

□ 자동이체 설정하기

□ 월별 수익률 기록하기

□ 연 1회 전략 점검 및 수정하기

□ 감정적 매매 하지 않기 (이게 제일 중요!)

결론

기억하세요. 파이어족이 되는 건 단거리 달리기가 아니라 마라톤이에요.

친구가 비트코인으로 대박 났다고 조급해하지 마세요.

옆집 김 대리가 테슬라로 차 바꿨다고 흔들리지 마세요.

묵묵히, 꾸준히, 체계적으로. 이게 퀀트 투자의 정신이고, 파이어족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길이에요.

10년 후, 20년 후의 나를 위해 오늘부터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About the Author

투자를 쉽게, 투자를 현명하게
인텔리퀀트의 블로그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모든 투자자가 퀀트 투자를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지식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Learn more
  • 이종권(Joseph) CEO는 KAIST에서 전기및전자공학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한국 IBM 유비쿼터스컴퓨팅 Lab에서 부장을 역임하며 기술 혁신을 선도해 왔습니다. 이후 에이서투자자문에서 퀀트운용 총괄을 맡아 퀀트 투자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쌓았고, 현재는 인텔리퀀트의 대표로서 누구나 현명한 투자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퀀트 투자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