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텔리퀀트의 퀀트 매니저 레이먼드 입니다.
오늘은 인텔리퀀트 커뮤니티에서도 소개된 DAA 전략을 국내 시장에도 적용해보겠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신마법공식 3.0 전략 + DAA(USD) 마켓타이밍 (연 수익률 66% MDD 19%)' by 기수퀀트
DAA 전략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Wouter J. Keller가 논문 "Breadth Momentum and the Canary Universe: Defensive Asset Allocation (DAA)"에 발표한 전략입니다.
전략의 핵심은 탄광 속에서 카나리아가 위험을 먼저 알려주듯, 주식 시장의 폭락을 미리 방어하기 위한 카나라아 자산군을 선정하는 것입니다.
Keller는 카나리아 자산군, 즉 VWO(개발도상국 주식)과 BND(미국 총채권)이 하락하면 미국 주식(SPY)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각 카나리아 자산의 모멘텀 스코어를 계산하여 투자 비중을 결정하고, 정해진 공격형 또는 안전형 자산에 투자하는 형태의 전략을 만들었습니다.
(인텔리퀀트 커뮤니티에 요청해 주시면 추후 포스팅으로 DAA 전략를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이번 시간에는 인텔리퀀트의 IQ Studio를 이용하여,DAA전략을 한국형으로 변형해서 전략을 짜보겠습니다.
K-DAA 전략
1.전략 개요
카나리아 자산군 선정
미국 DAA 전략은 위에서 설명한 VWO, BND를 기준으로 하지만, 국내 전략에서는 국내에 맞게 아래와 같이 카나리아 자산군을 선정했습니다.
✔️A069500 : KODEX 200(위험자산)
✔️A114260 : KODEX 국고채 3년(안전자산)
2. 공격형 자산 선정
공격형 자산 구성은 시총 하위 20%에서 PER+PBR+GPOA 전략으로 테스트를 위해 간단한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DAA 전략과 다르게 모멘텀 스코어 상관없이 20종목 매수합니다.
3. 안전형 자산(대체형 자산) 선정
원 DAA 전략은 안전형 자산이 주로 채권 ETF로 구성 되어 있지만, 불경기 같은 경우 주식 채권이 같이 하락 할 위험이 있어 국내 주식과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미국달러선물(A138230)로 정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안전형 자산 보다는 대체형 자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4. 모멘텀 스코어 계산식
121개월 수익률 + 43개월 수익률 + 2*6개월 수익률 + 12개월 수익률
5. 투자비중 결정

*Keller의 DAA 전략에서 일부 비중을 조절하였습니다.
6.테스트 조건
👉 테스트 기간: 2017.01.0.1 ~ 2022.12.12
👉 유니버스 : 시장전체
👉 종목:일반종목에서 네 종목군(ETF, 우선주, 관리/정리매매 종목, 자본 잠식인 종목) 제외
👉 리밸런싱: 매월 리밸런싱(거래대금 제한 없음)
👉 종목수: 20
7.테스트 결과

8.수익률그래프

결과 분석
시총 하위 20%에서 PER+PBR+GPOA 전략만으로 투자했을 때 성과가 샤프 지수 0.72, MDD 44.19%입니다.
하지만, 아래 한국형 DAA 전략을 결합하면 연평균 수익률은 올라가고 연환산 표준편차는 내려가면서 샤프지수 1.11로 좋아지고, MDD도 **24.28%**로 확연히 개선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K-DAA 전략에서는 테스트를 위해 간단한 형태의 공격형 자산 전략을 적용하였는데요. 자신이 사용하는 주식 전략으로 변경하고 투자 비중도 조절해서 테스트 해보셔도 좋습니다.
또한 카나리아 자산군 중 위험 자산을 코스피200/코스피 지수로 변경하여 테스트해도 괜찮을 것 같고, 대체 자산군 외의 헷지 자산군을 추가하여 비중을 나누어 진입하는 것도 테스트 해볼만 할 것 같습니다.
DAA를 비롯해서, 널리 인정받는 전략이라도 미국 시장과 한국 시장의 상황은 항상 다르기에,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해 보는 궁리도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