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74690942-2');
올 어바웃 머니

금, 앞으로 이렇게 투자하세요

Editor`s Note
장농에 금괴를 쌓아두기 두려운 당신을 위한 금 투자 가이드!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금 투자시 주의해야 할 점까지 알려 드립니다.

🔍 핵심만 콕콕

✔︎ 2025년 금값이 3,60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어요

✔︎ 금 투자 방법은 실물 금, KRX 금, 국내/미국 금 ETF, 골드뱅킹 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 초보자에게는 세금 처리가 간단하고 기존 계좌로 거래 가능한 KRX 금이나 골드뱅킹을 추천해요

금 투자, 왜 하필 지금? 불안할수록 빛나는 이유

세상 참 빠르게 변하죠. 어제는 주식이 좋다고 난리더니, 오늘은 부동산이 뜬금없이 치솟고요.

그런데 그런 혼돈 속에서도 묵묵히 제 가치를 지키는 자산이 있어요. 바로 금(金)입니다.

긴 역사 동안  금은 위기 상황에서 안전자산 역할을 톡톡히 해왔어요. 전쟁이 터지거나, 경제가 불안해지면 사람들은 주식이나 채권 대신 금을 찾았죠.

하지만 막상 금 투자를 시작하려고 하면 "어떻게 투자해야 하지?"라는 고민이 생기죠.

실물 금을 사야 할까요? 아니면 ETF가 나을까요? 비트코인과 비교하면 어떨까요?

오늘은 이런 궁금증들을 하나씩 풀어보면서,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 금을 똑똑하게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금이 더욱 사랑받는 이유

2025년 금값이 3,6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어요.

한때 금 한 돈(3.75g) 가격이 100만 원에 육박할 거라는 전망까지 나오니, 투자자들의 관심이 폭발하기도 했는데요.

실제로 국내에서는 골드바 품귀 현상까지 벌어졌고, 금 ETF나 골드뱅킹 같은 간접 투자 상품에 돈이 몰리면서 사상 최대 거래량을 기록하기도 했죠.

출처: 연합뉴스

이런 '황금 랠리'는 왜 일어나는 걸까요? 전문가들은 몇 가지 이유를 꼽습니다.

첫째, 지정학적 긴장감이에요.

우크라이나 분쟁이나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찾기 시작한 거죠.

둘째,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입니다.

미국 소비자 물가가 예상치를 뛰어넘으면서, 인플레이션을 헤지(위험 분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이 주목받고 있어요.

셋째,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달러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금은 달러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하거든요.

출처: 로이터 통신

이런 상황 속에서 JP모건, 골드만삭스 같은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2025년 말 금값을 온스당 3,700달러 이상으로,

심지어 일부 낙관론자들은 2026년 중반에는 4,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어요.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세도 여전해서, 2025년에만 900톤에 달하는 금을 사들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니, 금에 대한 믿음이 공고하다는 걸 알 수 있죠.

금 투자 방법 총정리: 어떤 게 나에게 맞을까?

한 눈에 보기

금 투자 방법 비교
투자 방법 장점 단점 특징
실물 금
  • 직접 소유 가능
  • 시스템 리스크 없음
  • 비상 시 현금화 용이
  • 보관 문제 (비용 발생)
  • 매매 스프레드가 큼
  • 소액 투자 어려움
한국금거래소, 대형 귀금속 상에서 구매
KRX 금
  • 실물과 연동되지만 보관 불필요
  • 매매 스프레드가 좁음
  • 소액 투자 가능
  • 유동성이 아쉬움
  • 실물 인출이 까다로움
한국거래소에서 거래
국내 금 ETF
  • 주식처럼 쉬운 거래
  • 소액 투자 가능, 유동성 좋음, 관리비용 저렴
  • 환율 헷지 여부 중요
  • 상품 구조 이해 필요
간편한 금 투자 시작
미국 금 ETF
  • 세계 최대 시장, 유동성 매우 좋음
  • 다양한 상품 선택 가능
  • 환율 리스크 존재
  • 복잡한 세금 문제
  • 미국 증권사 계좌 필요
세계 최대 시장의 금 상품
골드뱅킹
  • 은행의 안정성
  • 온라인 간편 거래
  • 소액 투자 가능
  •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
  • 실물 인출 제약
은행에서 제공하는 금 투자

자, 이제 본격적으로 금 투자 방법들을 비교해볼게요. 각각의 장단점을 꼼꼼히 살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세요.

실물 금: 손에 잡히는 진짜 금

금괴, 금화, 또는 금반지 같은 주얼리로 투자하는 방식이에요.

✔︎ 장점: 실제로 소유할 수 있어 심리적 안정감이 크죠. 집에 금덩어리가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든든하지 않나요?

✔︎ 단점: 보관이 문제예요. 도난 위험이 있고, 금고를 따로 마련해야 할 수도 있죠. 게다가 거래할 때 수수료(스프레드)가 붙어요. 예를 들어, 한국금거래소에서 금을 살 때와 팔 때의 가격 차이는 약 5~10% 정도랍니다.

✅ 추천 대상: 실물을 소유하고 싶은 분, 소액으로 시작하려는 초보 투자자.

KRX 금 시장: 거래소에서 금 거래

한국거래소(KRX)에서 운영하는 금 현물 시장입니다. 주식처럼 증권사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어요. 실물을 소유하지 않아도 되니 보관 부담이 없고, 1g 단위로 소액 투자가 가능해요.

✔︎ 장점: 소액 투자 가능, 거래소에서 관리하니 보관 걱정이 없어요. 거래 수수료도 비교적 저렴하죠(약 0.3~0.5%).

✔︎ 단점: 실물로 인출하려면 추가 비용이 들고, 거래소 운영 시간에만 거래할 수 있어요.

✅ 추천 대상: 소액으로 유연하게 투자하고 싶은 분.

국내 금 ETF: 주식처럼 금 투자

금 ETF는 주식처럼 국내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에요. 대표적인 상품은 세 가지 정도 있는데요.

📍 KODEX 골드선물(H) (132030)

📍 TIGER 골드선물Enhanced(H) (139320)

📍 ACE KRX금현물 (284430)

✔︎ 장점: 소액으로도 투자 가능하고, 유동성이 높아요. 관리 수수료도 연 0.5% 내외로 저렴한 편이에요.

✔︎ 단점: 금 가격과 정확히 연동되지 않을 수 있어요. ETF는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하니까요.

✅ 추천 대상: 주식 투자에 익숙한 분, 금 가격 변동에 간접 투자하고 싶은 분.

미국 금 ETF: 글로벌 시장 노리기

미국 국 ETF는 글로벌 금 가격에 직접 연동돼요.

📍 SPDR Gold Shares (GLD)

📍 iShares Gold Trust (IAU)

✔︎ 장점: 글로벌 금 시세를 반영해 변동성이 크고, 유동성이 높아요. 관리 수수료는 약 0.4% 정도로 합리적이에요.

✔︎ 단점: 해외 주식 계좌가 필요하고, 환율 리스크가 있어요. 원화가 약세일 때는 손해를 볼 수도 있죠.

✅ 추천 대상: 해외 투자에 익숙한 분, 글로벌 시장에 베팅하고 싶은 분.

골드뱅킹: 은행에 금 맡기기

은행 계좌에 금을 입금하고 출금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돈을 입금하면 그날의 금 시세에 맞춰 금의 무게로 환산되어 계좌에 기록되죠.

✔︎ 장점: 실물 보관 없이 투자 가능,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어요. 신한은행이나 하나은행 같은 곳에서 쉽게 개설할 수 있죠.

✔︎ 단점: 은행의 수수료(약 1~2%)가 붙고, 은행별로 금 시세가 조금 다를 수 있어요.

✅ 추천 대상: 간편한 투자를 원하는 분, 은행 거래를 선호하는 분.

어느 방법이 가장 끌리시나요? 초보자라면 KRX 금이나 골드뱅킹으로 시작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간단하면서도 리스크가 적거든요.

KRX와 골드뱅킹을 추천하는 이유

세금 처리가 정말 간단해요

해외 ETF 투자하면 외국납부세액공제, 환율 차익 계산 등으로 머리가 아프잖아요? KRX 금이나 골드뱅킹은 국내 세법만 적용되니까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훨씬 편해요.

예시: 미국 금 ETF vs KRX 금

미국 ETF: 배당세 + 양도세 + 환율차익세 + 외국납부세액공제 신청

KRX 금: 양도소득세만 신경 쓰면 됨

기존 계좌로 바로 시작 가능

• KRX 금: 이미 갖고 있는 국내 증권계좌로 바로 거래

• 골드뱅킹: 주거래 은행 인터넷뱅킹으로 간편하게 시작

해외 ETF 투자하려면 해외 증권사 계좌 개설하고, 서류 준비하고... 이런 번거로움이 없죠.

투자자 보호가 확실해요

금융감독원의 감독을 받는 국내 금융기관이니까 투자자보호제도가 적용돼요. 혹시 문제가 생겨도 금융분쟁조정위원회 같은 국내 기관을 통해 해결할 수 있고요.

금 투자할 때 꼭 알아둬야 할 주의사항

세금 문제는 미리 체크하세요

금 투자의 세금은 생각보다 복잡해요. 실물 금의 경우 양도소득세가 적용될 수 있고, ETF는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 구조가 달라요. 투자와 세금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 보세요!

포트폴리오의 5-10% 수준으로 시작하세요

금은 분명히 좋은 자산이지만 모든 돈을 금에 넣으면 안 되겠죠? 일반적으로 포트폴리오의 5-10% 정도가 적당하다고 하니,

헤지수단으로써 생각하는게 좋아요. 나이가 들수록 이 비중을 좀 더 늘려도 괜찮고요.

달러 강세기에는 금값이 약해져요

금은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가 강해지면 금값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어요. 달러 인덱스와 금값의 관계를 주기적으로 체크해보세요.

중앙은행 정책을 주목하세요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리 정책이나 양적완화 정책이 금값에 큰 영향을 미쳐요. 특히 미국 연준의 정책 방향은 꼭 체크해두시길 바래요.

‍결론

금 투자는 짧은 기간에 큰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긴 호흡으로 꾸준히 자산을 지키고 불려나가는 과정이에요. 마치 마라톤처럼 말이죠. 오늘 제가 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투자 여정에 든든한 길잡이가 되길 바랍니다.

그럼 현명한 금 투자하세요!

About the Author

투자를 쉽게, 투자를 현명하게
인텔리퀀트의 블로그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모든 투자자가 퀀트 투자를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지식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Learn more
  • 이종권(Joseph) CEO는 KAIST에서 전기및전자공학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한국 IBM 유비쿼터스컴퓨팅 Lab에서 부장을 역임하며 기술 혁신을 선도해 왔습니다. 이후 에이서투자자문에서 퀀트운용 총괄을 맡아 퀀트 투자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쌓았고, 현재는 인텔리퀀트의 대표로서 누구나 현명한 투자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퀀트 투자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추천 콘텐츠